본문 바로가기

잡글 Lv. 3

헷갈리는 웹 사이트 주소에 감춰진 비밀


다음 웹 사이트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가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http://www.daum.com
http://bloggernews.media.daum.com
http://www.allblog.com
http://www.tistory.net
http://www.eolin.net
http://www.blogkorea.com
http://www.openblog.net




일상 생활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눈에 척하고 알아볼 수 있는 사이트들입니다. 벌써 눈치채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혹시나 아직도 '도대체 저 사이트들에 무슨 공통점이 있다는 거야?'라고 고개를 갸우뚱하시는 분들이 계시다면 아래 이미지를 하나씩 넘겨 보시면 답이 있습니다.


012345


평소 이용하던 다음,올블,티스토리,이올린,블코 사이트와는 다른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바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사이트들의 인터넷 주소(도메인)과 비슷한 이름의 도메인들입니다.

보통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때는 즐거찾기나 단축버튼을 이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주소를 기억할 필요없이 그냥 다음,네이버,티스토리,올블 이렇게만 알고 있어도 충분하지만, 자신이 평소 쓰던 컴퓨터가 아닌 경우, 주소를 직접 입력하다보면 주소를 잘못 입력하게나 어떤 경우는 기억이 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 경우는 다음 블로거뉴스가 http://bloggernews.media.daum.net 라는 주소를 가지고 있지만 항상 g가 하나인지 두개인지? media가 들어가는지 들어가지 않는지? 혼동되기 때문에 즐겨찾기에 없을 경우에는 아예 항상 다음 메인을 통해 접속한 후 뉴스항목으로 이동해서 블로거뉴스에 접속합니다.

또 인터넷 서비스 회사들이 .net나 .com으로 끝나는 주소를 많이 쓴다는 것은 알아도 다음의 주소는 http://www.daum.net이고 네이버는 http://www.naver.com 이듯  일관성없이 회사마다 다르게 쓰이기 때문에 가끔식 혼돈이 옵니다. 마찬가지로 올블로그는 http://www.allblog.net이고 티스토리는 http://www.tistory.com이기 때문에 주소를 직접 쳐 넣어야 하는 경우 웹 사이트마다 .net나 .com인지 자주 헷갈리게 됩니다.

누구나 한번쯤 핸드폰을 집에 두고 나온 날은 하루종일 아무 전화도 받을 수 없는 것은 물론 자유롭게 전화를 걸 수가 없었던 답답한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설사 바로 옆에 유선전화가 있더라도 전화를 할 수 없기는 마찬가지 입니다. 전화 번호를 기억하지 못하기 때문이죠. 항상 핸드폰에 저장된 전화번호에 의지해 전화를 하다보니 늘상 거는 번호 마져도 기억하지 못하게 된 것입니다. 진화론에서 용불용설은 이미 퇴출되었지만 우리 일상 생활에서는 이렇게 아직도 버젓히 위력을 과시하고 있는 것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0여년전 공중전화와 함께 한시대를 풍미했던 삐삐 (출처: http://itviewpoint.com/tt/index.php?pl=1656&ct1=5)

하지만 대중화된 이동통신 수단이 삐삐밖에 없었던 10년전을 되돌아 생각해 보면 그때는 삐삐창에 뜬 전화 번호만 보고도 누군지 한눈에 척하고 알 수 있었습니다. 한참 삐삐를 쓸때 몇개의 전화번호를 외우고 있는지, 전화번호를 노트에 써 보니 50개 정도의 번호를 외우고 있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지금은 물론 5개도 제대로 못 외우지만 말입니다.(저만 머리 나빠 못 외우는 거라 하시면...슬퍼집니다.)

전화번호와 마찬가지로 인터넷 사이트를 접속하는데 즐겨찾기와 단축버튼에 의존하다보니 직접 주소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 주소를 확실히 기억 못하거나 .net나 .com을 헷갈리는 난감한 경우가 생기는 것입니다. 또 통계에 의하면 15%정도의 사람들은 즐겨 찾기 대신에 직접 주소를 치고 접속하기 때문에 실수할 여지는 충분히 있습니다.

그래서 인터넷 서비스 회사들은 사용자들이 이런 실수를 하지 않고 한번에 자신의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최대한 기억하기 쉬운 주소를 사용하거나 비슷한 주소들을 확보해서 사용자가 잘못된 주소를 입력하더라도 자신의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게끔 배려를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네이버에 접속하기 위해 http://www.naver.net 이라고 주소를 잘못 입력해도 네이버에서 이미 이 주소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http://www.naver.com으로 자동 연결 되는 식으로 말입니다.

한메일: http://www.hanmail.net -> http://www.daum.net/
구글 :http://www.google.net -> http://www.google.com/
MSN : http://www.msn.net -> http://www.msn.com

하지만 처음의 예에서도 보았듯이 이미 누군가가 선점하고 있는 주소들은 인터넷 서비스 회사들이 사용하고 싶어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주소를 직접 입력하는 15%의 경우 주소를 정확히 알지 못하면 원하는 사이트로 접속할 수는 없는 경우가 생깁니다. 또한 인지도가 높은 서비스를 모방한 짝퉁 사이트나 기업의 브랜드 가치에 타격을 줄 수 있는 적대적인 안티사이트를 막기 위해서도 대기업들에게  인터넷 주소 확보는 중요한 일입니다.

이런 이유로 인터넷 서비스 회사들은 기억하기 쉬운 주소나 비슷한 주소를 최대한 많이 확보하려고 노력 하지만 이 또한 쉬운 일이 아닙니다. 이미 그런 주소들은 경쟁이 치열하고 또 높은 가격에 거래 하기 위해 선점해 놓고 여유롭게 연락을 기다리는 봉이 김선달 같은 사람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90년대 중반 인터넷 도메인 시장이 한참 달아 오르기 시작했을때, 미리 큰 회사들의 주소나 기억하기 쉬운 주소들을 미리 선점해서 큰 돈을 번 사람들의 이야기는 많이 알려진 이야기 입니다. 1999년 business.com이 $750만 달러(약 75억원)에 거래된 이야기나 2000년 두루넷이 korea.com을 $500만 달러(현재 환률은 50억 미만...하지만 그 당시 환률로는?)에 구입한 이야기는 이제 호랑이 담배피던 옛날 이야기가 되어 버렸습니다.

거래 도메인 거래 가격 거래 시기
Dictionary.com $1억 달러 (1000억원) 2007년 7월  Answers.com이 구입
Sex.com $1400만 달러(140억원) 2006년 1월 Escom LLC가 구입
Porn.com $950만 달러(95억원) 2007년
Diamond.com $750만 달러(75억원) 2006년
Business.com $750만 달러 (75억원) 1999년
Beer.com $650만 달러 (65억원) 2006년 이전
Korea.com $500만 달러 (50억원) 2000년 3월 두루넷 구입
Loan.com $300만 달러 (30억원) 2006년 이전
Shop.com $320만 달러 (32억원) 2006년 이전
Vodka.com $300만 달러(30억원) 2006년
Telephone.com $180만 달러(18억원) 2006년 이전
seniors.com $180만 달러(18억원) 2007년
Cameras.com $150만 달러(15억원) 2006년
Website.com $70만달러 (7억원) 2006년 이전
Nav.com $70만달러 (7억원) 2006년
On.com $60만 달러(6억원) 2006년
AntiSpayware.com $60만 달러(6억원) 2006년
Macau.com $60만 달러(6억원) 2006년
Gays.com $50만 달러(5억원) 2006년
Wrestling.com $50만 달러(5억원) 2006년
Bike.com $50만 달러(5억원) 2006년
Blue.com $50만 달러(5억원) 2006년
Cafe.com $50만 달러(5억원) 2006년 이전
출처: 동아일보, New York Times, 그외 인터넷 검색

하지만 작년 7월 dictionary.com이 $1억 달러 (약 1000억원)라는 엄청난 가격에 거래되는 일이 벌어져, 도메인을 선점하고 기다리는 봉이 김선달들에게 다시 한번 꿈과 희망을 주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http://www.dictionary.com



이런 도메인 사냥꾼들에게서 자신의 도메인을 지키고, 이름만 비슷한 짝퉁 사이트가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한 대단한 노력으로 화제가 된 회사가 바로 Google입니다.
구글은 자기 회사 이름에 들어가는 "O"자의 갯수를 늘려 인터넷 주소를 사재기 하려는 김선달들을 막기 위해 많은 주소를 선점 해 두었습니다. 하지만 전 세계에서 각처에서 구글 주소를 노리고 몰려드는 수 많은 세력들을 다 막아 내진 못했는지 "O"자가 3개 들어간 http://www.gooogle.com와, 4개는 건너 뛰고 5개 들어간 http://www.gooogle.com까지만 구글 사이트가 이 정상적으로 열리고 나머지는 열리지 않거나 도메인을 점유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파킹 사이트가 열립니다. 인터넷에 떠도는 자료에는 12,13,14개의 "O"가 붙은 사이트와 17번째 사이트도 구글 사이트가 열리지는 않지만 구글에 등록되어 있다는데 졸다가 키보드 "O"자를 누르고 잠들지 않는 이상 그렇게 많은 "O"자는 무의미 할 것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글쓰다 졸고 있는 건 아니랍니다.


인터넷에 떠도는 구글 도메인 주소에 대한 이야기가 3년전에 씌여진 오래된 이야기라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 직접 확인해 봤습니다.

http://www.gogle.com/   1개 -> 구글로 연결
http://www.google.com/   2개 -> 당연히 구글로 연결
http://www.gooogle.com/   3개 -> 구글로 연결
http://www.goooogle.com/   4개 -> 파킹 사이트
http://www.gooooogle.com/  5개 -> 구글로 연결
http://www.goooooogle.com/  6개 -> 파킹 사이트
http://www.gooooooogle.com/  7개 -> 이상한 구글? 짝퉁 구글??
http://www.goooooooogle.com/  8개 -> coming soon
http://www.gooooooooogle.com/  9개 ->파킹 사이트
http://www.goooooooooogle.com/ 10개 ->Server not found
http://www.gooooooooooogle.com/  11개 -> 파킹 사이트
http://www.goooooooooooogle.com/ 12개-14개 ->Server not found
http://www.gooooooooooooooogle.com/  15개 -> 파킹 사이트
http://www.goooooooooooooooogle.com/ 16개-17개 -> Server not found
http://www.goooooooooooooooooogle.com/  18개 -> 파킹 사이트
http://www.gooooooooooooooooooogle.com/ 19개 -> Server not found
http://www.goooooooooooooooooooogle.com/  20개 파킹 사이트
http://www.gooooooooooooooooooooogle.com/  21개 -> 돈 벌게 해 준다는 사이트로 이동(LegitOnlineJobs.com)
http://www.goooooooooooooooooooooogle.com/ 22개 -> 서버는 있지만 문서 페이지 없음
http://www.gooooooooooooooooooooooogle.com/  23개 -> 파킹 사이트
http://www.goooooooooooooooooooooooogle.com/  24개 ->파킹 사이트
http://www.goooooooooooooooooooooooooogle.com/  25-26개 -> 파킹 사이트
http://www.g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gle.com/ 몇개인지 더 이상 못 세겠습니다.(죄송) ->찌그러진 구글 사이트(구글 직접 운영 하는 사이트는 아님)


도메인 규칙상  .COM 도메인은 최대 63자까지 가능하므로  google에 붙을 수 있는 "O"의 최대 갯수는 59개여서, 59개까지 모두 해 볼 생각이었지만 구글로 파도치는 스크린의 가물가물한 "o"를 세다보니 눈도 아프고 머리도 어지러운 것 같아 이쯤에서 그만 둬야 겠습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한번 직접 도전해 보시기 바랍니다.

잠시 삼천포를 다녀 오자면 이상한 구글 나라의 "o"를 쫒다 재미있는 경험을 했습니다.
http://www.gooooooooooooooooooooogle.com/의 "o"가 21개 들어간 사이트를 열었을때 바로 "오즈의 마법사"에 나오는 도로시를 만난 것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글의 마법사?


이 사이트는 돈 버는데 지치지 않냐며 자신들이 집에서 인터넷으로 편하게 돈 벌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는 아주 "이상한 사이트" 였습니다. 사이트안에 자기 회사의 도우미와 실시간 채팅을 할 수 있는 버튼이 있길래 눌러 보았더니 진짜 실시간 채팅이 되더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도로시와의 은밀한(?) 대화


도로시와의 은밀했던(?) 실제 채팅을 공개하겠습니다.

Ikarus>하이~만나서 반가와.
도로시>안녕하세요. 고객님!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Ikarus>(만화에 출연하던 어린 시절보다 많이 예뻐졌는 걸~)* 어떻게 돈 버는 거에요?
도로시>%$#&&%%#%%&)(*^%#&
Ikarus>(얼굴만 예쁜 줄 알았더니 참 친절하기도 하구나)그럼 연회비 내야 해요?
도로시>^%#^&^$$*()&()^%$##@&$* $49.97(5만원)
Ikarus>(5만원만 내면 같은 회사에서 일할 수 있는거야? 당장 신청해야지) 보통 회원들이 얼마나 벌어요?
도로시>%#^&^$$*()&()^%$##@ $100-$10000 (10만원에서 1000만원)
Ikarus>(옆에서 마눌님이 째려 보는 거 같아. 다음에 또 만날 수 있을까?) 한번 고려해 볼께요. 안녕히 계세요.
도로시>고객님 감사합니다. 좋은 밤 되세요.

*각주:괄호()안의 내용은 도로시에게 하고 싶었던 말이지만 영어가 짧아 마음속으로 삭혀야 했던 말 들입니다.


잠깐 삼천포에 다녀 온다는게 너무 길어졌습니다.

아무튼 구글의 "o"를 시린 눈 비벼가며 셀 수 없이 넣었던 이유는 다른데 있습니다. 위의 구글 파도를 잘 보시면 유난히 파킹 서비스라는 것이 많이 보입니다.
원칙적으로 파킹 서비스는 도메인을 구입헤서 등록한 후 아무 홈페이지 없이 방치 할 경우 소유권 주장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해 임시로 이미 작성된 간단한 내용이나 공지를 넣어 도메인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위에 보이는 구글의 예에서는 도메인을 등록하고 그 소유권을 유지하기 위해 호스팅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하는 파킹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다른 목적을 가지고 도메인을 유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글 도메인 파크 서비스로 돈을 버는 allblog.com


처음에 예로 들었던 http://www.allblog.com의 경우는 소스를 열어 보았을때 "Google AD Box"라는 문구가 보입니다. 이 사이트는 도메인의 소유권을 유지하기 위한 단순한 파킹 사이트가 아니고 바로 구글 에즈워드의 광고를 싣고 수입을 올리는 사이트 입니다. 말하자면 사이트 페이지 전체가 구글 애드센스인 셈입니다. 하지만 아무 파킹 페이지에나 구글이 광고를 실어 주지는 않습니다. 최소 월 75만회 이상의 페이지 뷰가 발생하는 사이트에만 광고를 실을 수 있다고 하니까 하루 평균 2만 5000천 뷰쯤 되는 셈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짝뚱 allblog.com 도메인 등록정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올블로그 도메인 등록정보


올블이 워낙 인기있는 서비스여서 도메인 사냥꾼들의 표적이 되었나 해서 도메인 등록정보를 확인해 보니 그건 아닌 것 같습니다. 올블 짝퉁(allblog.com)이 2002년에 등록되고 올블로그(allblog.net)가 2004년에,2년이나 늦게 등록 된 걸로 봐서는 올블로그가 생길 것을 미리 예지한 이태리의 도메인 장사꾼이 등록해 놓았다가 대박(?)을 터뜨린 것 같습니다.

도메인 사냥꾼들에겐 도메인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구글 도메인 파크는 꿩 먹고 알먹는 환상적인 서비스가 아닐 수 없습니다. 이렇게 도메인 파킹 서비스계에는 Yun Ye라는 전설적인 인물이 있습니다.
실제로도 언론이나 매스컴에 일절 등장하지 않아 베일에 쌓여 있었던 이 사람은 도메인을 사고 팔고 개발하는 업계의 선구자일 뿐만 아니라 하루 $10만불(1억원)의 수익을 올리는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도메인 사냥꾼이었다고 합니다. 그는 10만개 이상의 도메인을 소유하고 연간 $2000만 달러(200억)의 매출에 $1900만 달러(190억원)에 달하는 이윤을 남기다가 2004년 11월 미국 시애틀의 한 회사에 $1억6400만 달러 (1640억)라는 어마어마한 거금을 받고  모두 넘긴 다음 잠적해 버렸다고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Gone with the MONEY


사실이라고 믿기 힘든 이런 엄청난 이야기를 남긴 그는 사라진 후 다시는 그를 본 사람이 없었다는 신화적 요소까지 더해 도메인 사냥꾼들 사이에 전설적 영웅이 되었을 것 같습니다.

그리 환영 받지 못하는 도메인 사냥꾼의 이런 전설적인 이야기 뒤에는 바로 구글이 있다는 것을 상기해야 할 것 같습니다. 구글이 애드센스처럼 밖으로 드러내 놓고 광고하지는 않지만 도메인 사냥꾼들이 선점한 사이트가 따로 인터넷 서비스를 하지 않고도 이윤을 낼 수 있는 데에는 구글 도메인파크가 결정적인 역활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어쩌면 이런 도메인 사냥꾼과 구글의 '공생' 관계가 도메인 사냥꾼들에게 대박의 꿈을 더욱 부채질 해 주는 지도 모르겠습니다. 또 도메인 10만개를 소유했다는 Yun Ye의 수입이 저 정도라면 구글이 서비스하는 도메인파크가 벌어들일 수입이 어느 정도일지는 상상이 안 갈 정도입니다.

우리에겐 막강한 검색엔진으로 잘 알려진 구글은 이루 헤아리기도 힘든 수 많은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며 "구글신"의 경지에 올라 섰지만 이렇게 '음지에서 일하고 양지를 지양"하고 있는 줄은 잘 모르는 분이 많은 것 같아 적어 봤습니다.







참고자료


Yun Ye 이야기 : http://www.johnchow.com/making-money-with-domain-names/
Markus Frind 인터뷰 http://www.workhappy.net/2006/06/interview_with_.html
구글 도메인파크(Google AdSense for domains) http://www.google.com/domainpark





덧글

구글이 서비스하는 Gmail서비스 주소는 http://gmail.com입니다.
그렇다면 http://gmail.net으로 gmail에 접속이 될까요??
.
.
.
.
.

정답은 실시간 낙서장 같은 것이 열린다 였습니다.
01